요즘은 USB 저장장치들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파일시스템을 제대로 적용해야 100% 성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USB 저장장치의 종류와 usb 포맷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USB 저장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외장형 하드디스크 와 USB 메모리 그리고 SD 카드 정도 일듯합니다. 외장형 하드디스크의 경우 대용량 파일을 저장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하고, USB메모리의 경우 작은 사이즈나 중요한 문서들을 저장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합니다.
최근에는 USB메모리 저장장치의 용량이 대용량으로 많이 나오기 때문에 영화나 동영상들을 많이 저장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트북의 용량이 부족할 경우 USB저장 장치는 매우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제품은 4년전 쯤에 구매했던 외장형 하드디스크인데 USB2.0 버전이었는데 최신제품은 USB3.0 입니다.
오래된 제품이지만 동작은 잘합니다. 다만 속도가 좀 느리죠.
그리고 최근에 구매한 외장형 하드디스크 입니다. ^^
노트북용량이 부족하여 어쩔수 없이 구매했는데 아주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 용량도 1테라 입니다.
가격은 점점 떨어지고 성능은 좋아지는게 사실입니다.
USB3.0을 지원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속도도 엄청나게 빠릅니다. 용량이 커진게 아니라 성능도 좋아진 것이죠. 케이블 연결방식이 기본과 다릅니다.
그리고 카메라나 네비게이션 등에서 사용하는 SD카드 메모리입니다. 역시 과거 1G 사이즈만 해도 엄청났는데 이젠 64G 이상급도 있습니다. 속도도 빨라지고 용량도 커지고 가격은 저렴해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이동식저장장치가 발달하면서 파일시스템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SD카드 메모리를 보시면 FAT기본값으로 해서 NTFS나 FAT32, exFAT까지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2G까지 다양한 호환성을 위해서라면 FAT나 FAT32를 사용하시는게 좋고, 4G 이상을 사용하려면 NTFS 나 exFAT로 사용해야됩니다. 물론 이동식 디스크를 NTFS 나 exFAT로 설정했는데 네비게이션 단말기나 TV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호환성도 체크해야됩니다.
저는 SD카드의 경우 FAT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만약 4G 이상의 대용량 파일을 저장하고자 한다면 위에서 처럼 usb 포맷 방식을 exFAT 나 NTFS로 선택 후 포멧하세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실행창에서 CMD 명령어를 입력 한 후 convert f: /fs:ntfs 를 실행하시면 파일시스템이 ntfs로 변환됩니다. (디스크 드라이브가 f 인 경우 )
다양한 장치들이 많아져서 편리한 것도 있지만 다양한 방식을 지원하는 타입이 달라 호환이 안되는 문제도 불편한 점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무엇이든 자신의 환경에 맞게 구성하여 장치가 가진 최상의 성능을 제대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usb 포맷 시 자신에게 맞는 파일시스템을 선택하여 포맷하시기 바랍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n 실시간보기 스마트폰과 인터넷으로 보세요 (0) | 2016.01.14 |
---|---|
컴퓨터가 느려졌을때 해결방법 (0) | 2016.01.14 |
전기차 충전소 위치확인하세요 ! (0) | 2016.01.07 |
인터넷 기록 삭제 딱 10초면 됩니다. (0) | 2016.01.05 |
아이폰고속충전기 바이퍼럭스 고속 멀티 충전기 클레버 (0) | 2015.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