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은 제사를 직접 모시지 않는 집들이 많다보니 부모님지방쓰는법 부분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버지 지방쓰는법 어렵지 않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지방을 쓰는 종이의 경우 예전에는 한지를 사용했지만 요즘은 일반 백지로 많이 사용하고  넓이 및 사이즈는 위패에 맞춰사용하시면 됩니다. 특별하게 지켜야하는 사이즈는 없습니다. 보통 넓이 6센치 길이 22센치 정도로 사용합니다. 


부모님지방쓰는법 

지방쓰는 종이의 왼쪽에는 아버지 그리고 오른쪽에는 어머니 지방을 적습니다. 기본적인 규칙이 있어서 한번만 기억하면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요즘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출력도 하고 있으니 한자를 복사하여 그대로 출력하여 사용하셔도됩니다.



지방은 쓸때 부모님과의 관계를 적고 그 다음에 직위와 이름을 적습니다. 최근에는 직위라는 것이 없기 때문에 그냥 학생이라고 적습니다. 정리해보면 아버지는 지방의 첫 머리에 顯考라고 쓰고 어머니는 顯妣라고 적습니다.  현고의 의미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뜻하는 것이고, 현비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뜻합니다. 그리고 나서 관직을 적는데 아까 이야기한 것처럼 요즘은 學生(학생)이 관직명이 됩니다. 그리고 어머니는 남편의 부인이라는 뜻으로 孺人(유인)이라고 쓰면 됩니다. 그리고나서 어머니의 본관을 적어줍니다. 


그래서 정리해보면 아버지는 顯考學生府君 神位 (현고학생부군 신위)라 왼쪽에 적고, 오른쪽은 顯妣孺人安東金氏 神位 (현비유인00씨 신위) 라도 적어주면 부모님지방쓰는법 완료입니다. 어려운듯 하지만 한번 알고나면 어렵지 않은 지방쓰기 입니다. 그리고 한쪽 부모님이 살아 계신 경우 지방쓰는법이 다르기 때문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버지 지방쓰는법 

만약 부모님이 두분 다 돌아가셨을 경우 함께 지방을 써야하지만 한분 만 돌아가셨다면 쓰는 법이 다릅니다. 그래서 부모 중 한명이 생존해 있는 경우 남편의 경우 현고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顯辟(현벽)이라고 써야합니다. 그래서 현벽학생부군신위 라고 작성하시면 됩니다. 

어머니지방쓰는법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신 경우는 지방을 같이 쓰기 때문에 자식이 제사를 지내는 주체가 됩니다. 하지만 한 분이 계신 경우 어머니의 경우 현비라고 하지 않고 亡室(망실)이라고 씁니다.현비유인00씨 신위 顯妣孺人安東金氏 神位 라고 적지 않고, 망실유인00씨 신위 라고 적어야합니다.


알고나면 부모님지방쓰는법 어렵지 않습니다. 사실 관심도 없지만 일년에 한번 하다보니 잘 기억하기 어렵습니다. 컴퓨터에 저장해놓고 출력하는 것도 좋은 방밥이니 너무 정성스럽게 쓰려고 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버지 지방쓰는법 과 어머니지방쓰는법 각각 다르다는 점은 꼭 참고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