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이 바뀔 때 몸의 면역체계가 약해지면서 없던 증상들이 있습니다. 물론 몸살이나 피부관련 질환도 있지만 저는 계절이 변하는 시기에 눈이 나빠집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나면 눈이 침침하고 흐릿할때 계절을 보면 대부분 봄과 가을이었던 것 같습니다.
회사에서 주로 컴퓨터 앞에 잇는 시간이 많습니다. 특히 바쁠 때는 하루 종일 컴퓨터만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정말 피곤하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또한 직업상 새벽까지 일하는 경우도 많아서 평상 시 눈에 무리가 많이 가는 편입니다.
10년이상 그랬기 때문에 특별하게 조심하는 것은 없습니다. 눈이 침침하고 흐릿할때 대부분 좀 쉬면 좋아지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쓰지 않습니다. 하지만 간혹 상당히 오랜 시간 눈에 빨간 핏줄들이 생기고 건조한 느낌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눈을 자꾸 비비게 되어 눈 건강이 더 나빠지는 것 같습니다.
이런 증상으로 인해서 안과에서 진료받은 적인 있는데 대부분 피로하지 말고 눈이 건조할 수 있으니 인공눈물이나 안약을 사용하고 무리하지 말고 휴식시간을 가져야 된다고 해서 그 이후로는 병원에 자주 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보고 자연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첫 번째로 눈이 침침하고 흐릿할때 확인사항입니다. 최근에 최근에 스트레스를 받고 무리한 일을 하거나 수면 시간이 부족한 상태인지 확인 하세요. 눈은 우리가 깨어 있는 동안 항상 일을 하가 때문에 수면시간이 부족한 경우 눈에 무리가 가고 빛을 계속해서 받기 때문에 피로해 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시간이 필요합니다.
주요 원인 두 번째는 바로 전자기기 즉 컴퓨터와 스마트 기기 사용시간입니다.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 없이 살 수 없을 것처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출근할 때 부터 지하철, 버스 등 잠자기 전까지 많은 시간을 사용하다보니 눈에 피로를 줄 수 있습니다.
지나친 전자기기 사용과 특히 작은 화면에서 글자를 읽어야 하는 스마트폰 사용을 오래하는 경우 눈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잠들기 전이나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눈을 피로를 더욱 가장 시키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눈이 침침하고 흐릿할때 자신의 업무환경 및 스마트기기 사용패턴을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요즘은 스마트폰에 사용시간량 체크 프로그램이 있으니 하루 사용량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원인으로는 안구건조증입니다. 안구건조증이 있는 경우 눈이 금방 침침해질 수 있습니다. 계절적인 원인 과 화장이나 렌즈사용으로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고, 눈이 마르게 되면 눈이 따깝거나 침침해질 수 있습니다.
네 번째 원인으로는 여름철 수영장이나 물놀이장에서 오염된 물이 눈으로 침투하여 눈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속에 있는 세균들이 눈에 침투하거나, 다른 사람의 균이 옮겨올 수도 있습니다. 수영장 다녀와서 바로 눈이 침침하고 흐릿할때 세금감염으로 인한 눈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원인은 노안입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수정체의 탄력이 감소되고 수정체가 제대로 수축이 되지 않아 글씨나 사물을 뚜렷하게 볼 수 없습니다. 보통 40대에서부터 나타나기도 하지만 사람의 따라 노안이 오는 시점을 다릅니다. 앞서 이야기한 특별한 원인이 없는데 눈이 침침하고 흐릿할때 우리는 노안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눈이 침침하고 흐릿할때 눈주변 마사지나 지압을 틈틈히 해주면 좋다고 합니다. 눈 주변 광대뼈와 눈썹 주변을 돌아가며 꾹꾹 눌러주면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눈의 피로를 풀어주기도 합니다. 눈이 나빠지면 일상 생활하는데 매우 불편합니다. 따라서 눈에 좋은 음식과 약을 잘 챙겨두시고 특히 비타민A 나 등푸른 생선을 자주 드시기 바랍니다.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면조요리 세계10대 슈퍼푸드 중 유일한 육류입니다. (0) | 2016.08.13 |
---|---|
청귤의효능 과 청귤청만들기 소개 (0) | 2016.08.11 |
수두 증상 및 치료 방법 알아보아요. (0) | 2016.08.09 |
줄넘기 잘하는법 기본은 줄넘기 길이 조절부터하세요. (0) | 2016.08.01 |
맹장염 초기증상 확인하고 응급실가세요. (0) | 2016.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