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구매 후 첫번째 정비가 아마도 엔진오일교환이라고 생각됩니다. 근데 신차를 구매하고 엔진오일 교체주기 때문에 고민해보신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1000km 주행하면 반드시 교체해야된다는 사람도 있고, 5000에서 7000 사이에 교체해야된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이 가장 좋다라고 자신있게 이야기할 수있는 분들이 많이 없을 것입니다. 자동차 전문가라도하는 사람들고 어떤 사람은 짧게 이야기하고, 어떤 사람은 만까지 주행해도 된다고하는데 무엇이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을것 같네요.
그래서 오늘은 일반적인 방법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저 역시 자동차동호회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굉장히 보수적인 기준으로 추천하는 엔진오일 교체주기 입니다. 따라서 참고만 하시고 본인의 판단이나 오일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엔전오일을 교체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준은 현재 내 차량의 엔진상태이니다 대부분 엔진의 상태를 직접 체크할 수없지만 기본적으로 오일을 오염여부 와 점도 등을 체크하여 어느정도는 알수 있습니다. 물론 전문가중에는 맛을 보는 사람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권장하고 싶은 방법은 아닙니다. 물론 맛으로 구분하는 방법도 잘 모릅니다.
일반적으로 신차 구매 후 오일교환 주기는 2000 ~5000 km 사이라고 합니다. 차량을 주행하는 사람의 운전 습관에 의해서 다소 차이는 발생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기준이라고 보시면됩니다. 물론 어떤 분들은 교체주기를 전혀 몰라 1만킬로까지 주행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오일의 상태가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다고합니다. 새차라서 그런것이지 운전 습관이 조아서 그런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새차가 아닌 1만이상 주행한 차량들의 엔진오일 교체주기 시점은 보통 6000 ~ 7000 사이로 보시면됩니다. 처음 출고된 순정오일이나 또는 광유기준으로 그렇고 만약 합성유라면 좀더 길게 볼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차량의 누적 킬로는 10만 정도되었고 엔진오일교체 주기는 1만 정도 지나서 합니다. 아주 가끔 플러싱이라는 것도 해주는데 도움이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보통 엔진오일 교환할 때 엔진오일 상태를 체크하면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저 같은 경우 교체할 때 나오는 오일의 상태 즉 색상이나 점도를 정비소 엔지니어에게 체크해달라고 하여 다음에는 교체주기를 짧게 갈것인지 길게 갈것인지 결정을 합니다. 그래봤자 1000 킬로 내외로 조정합니다.
그런데 엔진오일 교체주기 타이밍을 항상 맞추기는 어려워 휴가철이거나 장거리를 가야될 경우 좀 일찍 교체하면서 경정비도 하고, 혹은 너무 바빠서 좀 늦기도하는데 그렇게 많은 영향을 주지 않는것 같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중요한 것은 운전습관이라고 생각됩니다.
불필요한 급가속이라든지 엔진에 무리가 가는 습관으로 주행을 한다면 일반 사람들보다 자주 오일을 교환해줘야 할것이고 정속주행이 안전운전을 기본으로 하는 사람들은 기준에 따라서 교체하면 됩니다.
엔진오일 교체주기 때문에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편하실 때 교환하시면됩니다. 교환하면서 다른 부분들도 체크하면 더 좋습니다. 멀리 장거리를 뛸때 단속 카센터에서 간단하게 오일과 다른 부분을 체크하고 교환시기가 되면 그때 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차량을 자주 점검하고 고장없이 운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r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납작복숭아 토성복숭아 도넛복숭아 정말 달콤합니다. (0) | 2016.05.06 |
---|---|
스즈키 허슬러 일본경차수입 인증과정 [안전검사] (0) | 2016.05.02 |
플라스틱상자 및 플라스틱박스 캠핑테이블 (0) | 2016.05.01 |
춘천닭갈비 택배 주문해서 먹었습니다. (0) | 2016.04.30 |
원효로 맛집 일식전문 소나이 (0) | 2016.04.29 |